목록Big Data (6)
라마보이 투게더

node-to-node rebalance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고 대기상태로 에러만 일으키고 있을때 아래의 설정을 이용하여 포트오픈 방화벽을 재시작하면 정상작동하게된다. sudo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20/tcp sudo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4369/tcp sudo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91/tcp sudo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92/tcp sudo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
모든 준비가 끝나고 이제 실제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를 설정 해 줍니다. 네트워크 설정을 따로 해주는 이유는, 가상 서버 환경에서 다수의 서버를 돌릴때 설정시 편의를 위해서 입니다. 자동으로 해두면 매번 IP주소가 바뀌기 때문에 IP로 작성해둔 설정등을 매번 바꿔야 하겠죠?우선 로그인 후 우측 상단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각종 설정창이 뜨게 됩니다.저는 NAT방식과 호스트전용 방식 두가지 네트워크 설정을 해둬서 이더넷 설정이 두개 잡히네요 둘중 하나를 누르고 유선 네트워크 설정을 클릭하면 설정창이 뜹니다. 좌상단 프로그램 > 시스템도구 > 설정 >네트워크로 들어가셔도 동일한 결과지만, 구지..가상 아이피로 설정된 이더넷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우측 하단 설정 아이콘을 누릅니다.IPv4를 선택후 유선 설정을 ..
본격적으로 설치에 들어가봅니다. 1. 미리 생성해두었던 가상서버를 더블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폴더 아이콘을 누릅니다. 2. 미리 받아두었던 CentOS iso파일을 선택합니다. 3. 다음과 같이 시동디스크가 iso파일로 선택되었다면 시작을 눌러 설치에 들어갑니다. 3. Install CentOS 7을 선택합니다. 기본 설정은 Test this...로 되어있고, 누르면 설치파일을 검사 후 설치에 들어갑니다. CD나 DVD시절 설치도중 에러가 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했던 행위인데.. 우린 필요 없으니 바로 인스톨로 들어갑니다. 4. 꽤 오래전부터 리눅스 설치에 GUI환경을 제공합니다. 덕분에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죠. 우선 설치언어는 당연히 한국어로 설치해 줍니다. 5. 계속진행을 누르면 다음..
필요한 파일 다운로드 링크 - http://llamaboy.tistory.com/2 VirtualBox 가상서버 만들기 - http://llamaboy.tistory.com/3VirtualBox 가상서버 만들기가 끝났다면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합니다.네트워크 설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공유기가 있는 환경 2. 공유기가 없는 환경 이 내용을 정리하는 이유는 제가 설치를 할때 공유기가 없는 환경이었기 때문에 설정에 애를 먹은 이유도 있습니다.1. 공유기가 있는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세팅1)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만들어둔 가상 서버를 클릭합니다. 2) 네트워크 어댑터1의 설정을 호스트 전용 어댑터로 설정합니다. 다른 설정은 필요 없습니다. 확인을 누르고 종료. 2. 공유기가 없는 환경1) 네..
설치에 필요한 다운로드를 정리 해 놓은 링크입니다.http://llamaboy.tistory.com/2 VirtualBox를 이용하여 CentOs7을 설치하는 실습입니다. 목표가 빅데이터 관련 오픈소스를 이용한 환경의 구성이기 때문에 별도의 설정없이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를 해 보겠습니다. 일단 VirtualBox설치는 다음만 누르면 설치가 되기때문에 별 다른 정리를 하지 않겠습니다. 1. 새로만들기를 클릭합니다. 2. 가상 머신 종류와 이름을 정해줍니다. 이름은 나중에 수정이 가능합니다. Linux - 버전은 64-bit중 하나 고르면 됩니다. CentOS는 찬밥취급이네요. 사실 뭘 골라도 상관없다는걸 나중에 알았습니다. 오른쪽 아이콘만 바뀜.. 3. 메모리 크기를 선택합니다. 저는 1024로 설정..
빅데이터 관련하여 테스트를 해보기에 앞에 필요한 환경을 만들어야겠죠? 다중의 가상서버가 필요하기 때문에 Virtualbox를 이용할 예정입니다. 리눅스는 CentOS7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Virtualbox는 현재 사용중인 윈도우안에 가상환경을 만들어서 타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게 해 줍니다. vmware를 이용할 수 있지만 유료이기 때문에 버츄어박스를 이용하려고 합니다. 설치나 사용등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옛날에는 로컬에 윈도우랑 리눅스 멀티부팅으로 설치하고 그랬는데.. 좋은 세상이죠. CentOS는 리눅스의 한가지 버젼으로 운영체제 중 하나입니다. 다른 종류의 리눅스 버젼을 사용하셔도 됩니다만 저는 CentOS7을 선택하였습니다. 전에는 레드햇등 다른버젼을 많이 썼는데, 요즘엔 CentOS를 많이..